시각장애
시각장애는 안경을 쓰고도 잘 안 보이거나 볼 수 있는 범위가 정반 이상 감소된 것을 말합니다.
전혀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은 소수이며, 대부분은 최소한 명암이나 물체의 형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.
- 1. 물건을 전해줄 때는 무슨 물건인지 간단히 설명하여 줍니다.
- 2.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서류나 물건은 임의대로 옮겨놓지 않습니다.
- 3. 회의를 할 때는 먼저 간단한 자기소개를 하고 시작합니다.
- 4. 동행할 때에는 지팡이 반대쪽에 서고, 시각장애인 동행인의 팔을 잡을 수 있도록 합니다.
- 5. 길을 안내할 때는 “몇 발짝 앞, 몇 미터 앞"과 같이 구체적으로 말해줍니다.
- 6. 음료를 권할 때는 뜨거운지, 차가운지 알려주고 손을 잡아 직접 대어줍니다.
- 7. 음식을 주문하기 전에 메뉴와 가격을 말해줍니다.
- 8. 식사할 때에는 음식 설명을 해주고 위치는 시계방향으로 알려줍니다.
- 9. 시각장애인이 계단 쪽을 향하여 가는 경우에는 계단의 숫자와 방향을 말해줍니다.
청각장애
청각장애는 소리를 들을 수 없거나 들어도 분별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.
소리는 들을 수 없게 되면 발음이 고르지 못하게 되고 그대로 방치하면 말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.
따라서 청각장애는 의사소통의 장애라고 할 수 있습니다.
- 1. 말할 때에는 눈을 보면서 발음을 천천히 정확하게 합니다. 필요하면 반복해서 말해줍니다.
- 2. 시간, 장소 등 꼭 기억해야 할 사항은 알려준 즉시 다시 물어봐서 이해했는지 확인합니다.
- 3. 밝고 소음이 적은 곳에서 대화를 나눕니다.
- 4. 업무를 지시할 때는 시범을 보이거나 쉬운 글로 써서 설명합니다.
- 5. 회의에서 진행되는 상황을 중간중간 알려주고 얘기할 기회를 줍니다.
- 6. 공지사항(회의, 야근, 회식)은 게시판에 미리 알려줍니다.
- 7. 예기치 못한 일이 벌어진 경우에는 그 상황을 설명해 줍니다.
- 8. 화장실 문에 ‘사용 중’임을 알려줄 수 있는 표지판을 설치해 놓습니다.
언어장애
언어장애는 음성 기능 또는 언어 기능에 영속적이고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.
- 1. 언어장애인이 오랫동안 이야기할 때는 고개를 끄덕이고 몇 마디 반응을 보임으로써 상대의 말을 경청하면서 이해하고 있음을 알립니다.
- 2. 언어장애인이 말하는 것이 힘들어 보일지라도 말하고자 하는 것을 끝마칠 때까지 기다립니다.
- 3. 청각장애가 함께 있는 경우 상대방의 대화를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장애인의 얼굴, 눈을 바라보고 대화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.
- 4. 언어장애인들 중에는 전화 통화를 꺼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확인할 때까지는 전화를 삼갑니다.
- 5. 언어장애인은 느리게 쉬어가면서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전화의 경우 시각적인 접촉이 없으므로 의사소통 속도가 더욱 느림을 이해해야 합니다.
지체장애
지체장애는 질병이나 외상 등으로 골격, 근육, 신경 중 일부분을 다쳐서 운동장애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.
- 1. 바닥에 물이 있으면 미끄러져 다치기 쉬우므로 알려줍니다.
- 2. 휠체어, 목발은 장애인 곁에 둡니다.
- 3.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위해 좌석 공간을 마련해 줍니다.
- 4. 경사로에서 알려주지 않고 휠체어를 놓는 것은 대단히 위험합니다.
- 5. 휠체어 사용자와 장시간 대화를 나눌 때에는 눈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의자에 앉습니다.
지적장애
지적장애는 지능이 낮고 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말합니다.
약 5%는 지능이 매우 낮아 보호가 필요하지만, 대부분은 조기에 알맞은 교육과 훈련을 통해 스스로 생활할 수 있습니다.
- 1. 작업지시는 한 번에 한 가지씩만 합니다.
- 2. 작업은 익숙해질 때까지 시범을 통해 여러 차례 반복해 줍니다.
- 3. 나이에 맞는 호칭을 사용하고 함부로 반말을 하지 않습니다.
- 4. 시간이 걸리더라도 끝까지 이야기를 들어줍니다.
- 5. 돈 계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옆에서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.
- 6. 식사 메뉴는 같이 읽어주고 설명해 줍니다.
- 7. 익숙하지 않은 곳을 찾아갈 때는 동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8. 낯선 곳에서 집으로 갈 때는 집에 잘 도착했는지 전화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9. 비장애인과 대화를 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되, 보다 구체적이고 쉽게 이야기합니다.